디지털 자산을 남기는 시대, 종이 유언장만으로는 부족하다
한 사람의 인생이 점점 더 ‘온라인’에 기록되고 있다.
이메일, SNS, 클라우드, 사진 앱, 블로그, 유튜브 채널, 전자책, 암호화폐, NFT, 온라인 쇼핑몰,
그리고 OTT 계정과 게임 아이템까지…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 자산은 수십 가지를 넘는다.
문제는 이러한 자산이 사망 이후 누구에게도 인계되지 않고,
로그인 정보조차 알 수 없는 채로 소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종이 유언장에는 집, 현금, 차량 등 물리적인 재산은 명확히 나열할 수 있지만,
이메일 비밀번호, SNS 관리자 권한, 구독 서비스 상태 같은 디지털 정보는 포함되기 어렵다.
게다가 디지털 자산은 계속해서 변경되고 업데이트되는 특성이 있어,
고정된 문서만으로는 실시간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디지털 유언장(Digital Will)’이다.
이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현황, 계정 정보, 상속 의사, 계정 삭제 여부,
상속자 권한 설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온라인 기반 또는 전자문서 형태의 유언장을 말한다.
디지털 유언장은 기술과 법, 그리고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사후 관리 의지를 모두 반영해야 하며,
정확성과 보안, 상속자의 접근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제부터 디지털 유언장을 어떻게, 어떤 기준으로 작성해야 하는지 하나씩 안내하도록 하겠다.
디지털 유언장이 필요한 이유와 포함해야 할 항목들
왜 꼭 필요한가?
자산의 존재를 가족이 모를 수 있다.
그래서 암호화폐 지갑, NFT 플랫폼, 클라우드 저장소는 고인이 공유하지 않으면
유족이 존재조차 알기 어렵다.
접근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생체 인증, 2단계 인증, OTP 앱 등을 설정한 계정은
본인이 아닌 이상 로그인 자체가 불가능하다.
법정 상속권이 있어도 플랫폼이 접근을 막는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대부분의 플랫폼은
‘사용자 본인 외 접근 불가’ 약관을 갖고 있다.
소중한 기록이 소멸한다
사진, 일기, 영상, 이메일, 음악 저장소 등은
단순한 재산을 넘어서 ‘기억의 유산’이다.
디지털 유언장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
항목 | 설명 |
계정 목록 | 이메일, SNS, 클라우드, 쇼핑몰, 금융 앱, 암호화폐 등 계정명 + 플랫폼명 |
로그인 정보 | 아이디, 비밀번호, 2단계 인증 수단 위치 또는 앱 |
자산 현황 | 암호화폐 개수, NFT 정보, 유튜브 수익, 블로그 광고 수익 등 |
상속 지침 | 삭제 / 유지 / 상속 여부 명시 (예: “인스타그램은 삭제, 블로그는 유지”) |
상속자 지정 | 각 계정 또는 자산마다 담당 상속자 설정 (친구, 배우자, 자녀 등) |
개인 의사 | 사후 공개 여부, 디지털 추모 공간 여부, AI 아바타 허용 여부 등 |
이 항목들을 정리하면, 단순히 계정을 정리하는 수준을 넘어
사후 나의 디지털 존재를 어떻게 다룰지까지 결정하는 중요한 문서가 되는 것이다.
디지털 유언장을 작성하는 절차: 실무 중심 단계별 가이드
디지털 유언장은 법적으로 인정되는 유언장과 병행하거나,
별도의 디지털 유산 관리 문서로 병렬 운영할 수 있다.
이 문단에서는 구체적인 작성 절차를 단계별로 안내하도록 하겠다.
1단계: 디지털 자산 전수 조사
자신이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모두 목록화해야 한다.
예를 들면, Gmail, iCloud, Naver, YouTube, Instagram, Meta, Dropbox, Binance, Upbit 등이 있다.
자산 유무 확인을 한다. 단순 계정인지, 수익·저작권이 발생하는 계정인지 체크한다.
2단계: 계정 접근 정보 정리
각 계정의 아이디, 비밀번호, 2단계 인증 방법 기재한다.
OTP 앱 사용 시 앱 이름과 백업 코드 또는 위치 정보 기재한다.
비밀번호 관리자 앱 사용자는 마스터 비밀번호 위치 및 해제 방법 포함한다.
3단계: 계정별 처리 방침 설정
유지 / 삭제 / 상속 중 선택한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은 추모 계정 전환”, “네이버 블로그는 딸에게 상속”,
“유튜브 채널은 수익 중단 후 비공개 전환”, “클라우드 사진은 가족과 공유”한다.
4단계: 상속자 및 접근 권한 설정
모든 자산을 한 명에게 넘기는 방식 외에도
계정별로 다른 상속자를 설정할 수 있다.
상속자는 실제로 해당 플랫폼 사용이 가능한 인물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버지가 사용하는 코인 거래소를 딸이 모르면 무용지물이다.
5단계: 저장 및 공유 방식 결정
문서 형식은 워드, PDF, 구글 문서, 암호화된 텍스트 등이 있다.
저장 위치는 클라우드(암호화 권장), USB, 종이 인쇄본이 있다.
공유 방식은 유언장 일부를 상속자와 사전 공유하거나,
법무사・공증사 보관 후 사망 시 자동 전달 설정한다.
이 과정을 따라가면, 내가 가진 디지털 유산의 현황과 처리 방침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리 문서로 완성할 수 있다.
작성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보안과 법적 유의 사항
디지털 유언장은 민감한 정보와 함께
상속자의 사후 접근 문제, 정보 유출 위험, 유효성 논란 등
주의 깊게 관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분쟁의 씨앗이 될 수 있어.
보안 측면
비밀번호, 복구 코드, 생체 인증 기기 정보 등은 절대 일반 문서로 노출 금지하고,
암호화된 비밀번호 관리자 앱(예: Bitwarden, 1Password)을 사용하거나
종이 문서에 비밀번호를 일부 가려 작성하고 별도 문서와 연동한다.
법적 유효성 문제
한국 법상 디지털 유언장은 단독으로 법적 효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반드시 공식 유언장 또는 공증 문서와 함께 작성하거나
디지털 유산 관련 내용은 별도 조항으로 포함해야 한다.
가족 간 갈등 예방을 위한 조치
유언장 전체를 모든 가족과 공유할 필요는 없지만,
상속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왜 누구에게 어떤 자산을 넘기는지”에 대한 설명을
별도 메모 또는 음성 메시지로 남겨두면 오해를 줄일 수 있다.
업데이트의 중요성
계정은 늘어날 수도 있고, 비밀번호는 자주 바뀐다
6개월~1년에 한 번은 디지털 유언장 내용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유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디지털 유언장은 쓰는 것만큼이나 관리와 보관, 설명 방식이 중요하다는 거야.
추천 툴, 실제 사례, 그리고 나만의 디지털 유언장 시작 방법
추천 도구
툴/앱 | 설명 |
1Password / Bitwarden | 비밀번호 + 계정 + 보안 정보 관리 가능, 상속자 접근 기능 탑재 |
Google Inactive Account Manager | 구글 계정 비활성 상태 시 자산 전달 가능, 유산 연락처 지정 |
Legacy Contact (Apple) | 사망 후 iCloud 사진, 메모, 메일 등을 특정인에게 자동 전달 |
Everplans (미국) | 생전 자산 및 유언장 관리 + 사후 상속자 전달 시스템 구축 가능 |
디지털 유산 템플릿 (문서) | 엑셀 또는 워드로 제작된 정리 양식 활용 가능 (직접 작성 추천) |
실제 사례
36세 웹디자이너 A 씨는
자녀가 어린 상황에서 교통사고를 경험한 후,
본인의 SNS 계정, 클라우드 포트폴리오, 암호화폐 계좌 정보를
PDF 문서로 정리하고,
남편과 친한 친구에게 각각 일부 접근 권한을 나눠 설정했다.
29세 유튜버 B 씨는
유튜브 수익 계정(Google AdSense)을 동생과 공유하고,
구글 계정 비활성 설정을 통해
6개월 미접속 시 가족에게 자동 이메일 발송되도록 설정했다.
시작 팁
오늘 당장 자신이 가진 계정을 적어 보는 것부터 시작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만 골라서
그 계정의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 목적, 원하는 처리 방침을 메모로 정리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어느새 나만의 디지털 유언장이 완성될 것이다.
'디지털 유산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유산 상속 전문 직업군의 등장: 디지털 유산 상속 컨설턴트 (0) | 2025.07.08 |
---|---|
MZ세대는 어떻게 디지털 유산 상속을 준비하고 있는가? (0) | 2025.07.08 |
디지털 유산 상속 장례식 대신 디지털 추모 공간을 만드는 시대 (0) | 2025.07.07 |
디지털 유산 상속 사후에도 살아있는 SNS 계정들, 어떻게 관리돼야 할까? (0) | 2025.07.07 |
디지털 유산 상속 AI 아바타로 남는 ‘디지털 영혼’, 윤리적 논란은? (0) | 2025.07.06 |